[텔레파시 통신 氣치료]'新과학'제도권으로 진입
중앙일보ㅣ1997. 7. 29. 火

지난 2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 얼핏 들으면 '황당무계' 한 내용의 발표가 이뤄지고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그러나 '허황한' 논의라고 일소에 붙이기에는 이 모임을 주최한 측이나 참석자들의 면면이 만만치 않았다.

신과학 (新科學) 기술개발을 위한 정책 토론회' 로 이름 붙여진 이날 모임은
의원 23명으로 구성된 국회가상정보가치연구회와 국내의 대표적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이 공동주최했다.

또 주제발표자인 정문조 (KIST).방건웅박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 토론에 나선 임성빈교수 (명지대 공대학장).박동석국장 (과기처) 등도 이른 바 제도권 과학기술계에서 위치를 굳힌 사람들이다.

이들 참석자들은 기존 과학의 개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마술' 같은 과학 얘기를 주제로 2시간 넘게 진지한 토론과 논의를 계속했다.

[구름을 불러 비를 내리고, 폭풍의 진로를 바꿀 수 있다는 '기상조절' 론 에서부터 놔파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다는 '텔레파시' 까지 다양한 주 제들의 실용화 가능성까지 점쳐졌다.

이날 토론회를 주도한 이상희의원은 "기존 과학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난제들이 많다" 며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신과학기술을 정보통신.생 명공학과 함께 3대 중점분야로 투자해야 한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기처 관계자 역시 "피라밋 파워, 기치료 등 현상이 실증되는 분야가 있다면 연구를 지원할 생각" 이라고 밝혔다.

그간 '사이비' 라는 비난을 들어오며 홀대받아온 신과학은 이날 모임을 통해 일단 성공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상당수 과학 자들은 여전히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김창엽 기자

기상청 "인공강우로 공기청소"
mbc | 기사입력 2009-10-13 22:55 | 최종수정 2009-10-13 23:03


[뉴스데스크]◀ANC▶

기상청이 지난해와 올해 잇따라 인공강우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이른바 '구름 씨'를 하늘에 뿌리는 방법인데요, 상용화되면 쓰임새가 한두 가지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서울시는 최근 기상청에 인공강우를 실시할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입니다.

심각한 스모그로 숨도 쉬기 힘든 날, 인공강우로 일시에 공해 물질을 씻어버린다는 계획입니다.

기상청은 충분히 가능한 기술이라고 말합니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기상청은 대관령과 태백 등 산간지역에서 11번의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해, 모두 3차례 비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구름 위에다 경비행기로 구름 씨인 '요오드화은'을 뿌리면 구름 속의 수증기가 한데 뭉쳐 빗방울이 돼 떨어지게 됩니다.

◀INT▶ 장기호 박사/기상청 "현재 올해 수준은 구름 조건만 맞으면 인공강우를 어떤 지역에서나 내릴 수 있는 수준이라고 불 수 있겠습니다."

기상청은 서울의 경우 연간 20회 정도, 인공강우를 이용한 공기 청소가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가뭄이 심했던 올 봄에는 전남과 경남, 광주 등 자치단체들이 인공강우를 요청했습니다.

◀INT▶ 박대해 의원/한나라당 "지자체 간 분쟁을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기 때문에, 모든 지자체가 같이 참여할 수 있는 통합 기구라든지 위원회를 만들어서..."

기상청은 앞으로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가뭄과 산불, 대기오염이 극심한 지역부터 인공비를 내리게 할 계획입니다.

이어 인공눈을 내리게 하는 실험을 내년 초까지 강원도의 스키장에 실시해 2015년까지 상용화한다는 계획입니다.

MBC 뉴스 김승환입니다.(김승환 기자 cocoh@imbc.com)



수도권 지역 `인공강우 실험` 성공
공기 질 개선·가뭄 해소에 도움
"인공 강수 1mm 당 5억원의 가치"
이데일리ㅣ입력시간 :2010.05.23 09:54




[이데일리 신혜리 기자] 기상청이 처음으로 산악 지역이 아닌 평지 인공강우 실험에 성공했다. 이에따라 인공강우를 통한 수도권의 공기 질 개선과 가뭄 해소 계획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기상청은 23일 "평택과 안성지역에서 인공강우 비행실험을 한 결과, 1~2mm의 강우가 검출됐다"며 "이는 산악지역이 아닌 평지에서도 인공강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기상청은 대관령과 태백 등 산간지역에서 11번의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해 모두 3차례 비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만 평지에서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산악지역보다 평지 비중이 높은 수도권 전역에서 인공강우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인공강우는 수증기량에 비해 구름씨가 부족한 `과포화구름`에 구름씨를 뿌려 강우를 유도하는 것으로, 산악지역의 구름이 수분이 비율이 높아 평지에 비해 인공강우 성공확률이 높은 편이다.

장기호 기상청 박사는 "구름 조건만 맞으면 어디에나 인공강우를 내릴 수 있게 됐다"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과학적 확인을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공 강우는 황사 먼지나 오염된 미세 먼지가 씻겨내 공해를 줄이고 극심한 가뭄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강수의 경제적 가치 워크숍`에서는 실제로 1mm 강수가 약 5억원 정도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인공강우는 지난 베이징 올림픽때 인공강우를 통해 기후를 조절했던 중국은 물론 미국에서도 상용화 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37개 국가에서 인공강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신혜리 기자 hyeree@


기상청 "인공강우 실험 성공률 44%"
"최근 3년간 연이은 효과 확인으로 인공강우 자신감 확보"
노컷뉴스ㅣ2010-06-15 12:00 / CBS 사회부 이희진 기자